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과태료 부과기준

  • HOME
  • 참여민원
  • 학원/교습소/개인과외
  • 과태료 부과기준

과태료 부과 대상 및 부과기준(개정 2019. 12. 27.)

시행령 제21조와 관련한 [별표5]

과태료 부과 대상 및 부과기준 : 위반 행위 , 근거 법조문, 과태료금액(만원)(1회 위반, 2회위반, 3회 이상위반) 포함
위반행위근거 법조문과태료 금액(만원)
1회 위반2회 위반3회 이상 위반
가. 법 제4조제3항에 따른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1호
1) 10일 이하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30
2) 11일 이상 20일 이하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60
3) 21일 이상 30일 이하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90
4) 31일 이상 60일 이하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120
5) 61일 이상 90일 이하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150
6) 91일 이상 안전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300
나. 법 제6조제4항을 위반하여 등록증명서를 게시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1호의250100200
다. 법 제10조제1항에 따른 학원 휴원·폐원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2호
1) 1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50
2) 2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100
3) 3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200
4) 6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300
라. 법 제13조제2항에 따른 강사의 연령·학력·전공과목 및 경력 등에 관한 인적 사항을 게시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3호50100200
마. 법 제13조의2에 따른 검증을 하지 않고 외국인강사를 채용한 경우법 제23조제1항제3호의2100200300
바. 법 제14조제5항 또는 제14조의2제5항을 위반하여 신고증명서를 게시 또는 제시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4호50100200
사. 법 제14조제6항 또는 제14조의2제6항의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신고증명서의 재발급을 신청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5호50100200
아. 법 제14조제9항에 따른 교습소 휴소·폐소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2호
1) 1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50
2) 2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100
3) 3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200
4) 6개월 이상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300
자. 법 제14조의2제10항에 따른 표지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법 제23조제1항제6호의350100200
차. 법 제15조제1항에 따른 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6호의2100200300
카. 법 제15조제3항을 위반하여 표시·게시·고지를 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7호50100200
타. 법 제15조제4항을 위반하여 교습비등을 거짓으로 표시·게시·고지한 경우법 제23조제1항제7호100200300
파. 법 제15조제4항을 위반하여 교습비등을 징수한 경우법 제23조제1항제7호의2100200300
하. 법 제15조제6항에 따른 교습비등의 조정명령을 위반한 경우법 제23조제1항제7호의3100150300
거. 법 제15조의3을 위반하여 장부 또는 서류를 비치·관리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7호의450100200
너. 법 제16조제3항에 따른 보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보고를 한 경우법 제23조제1항제8호
1) 보고를 하지 않은 경우50100200
2) 거짓으로 보고를 한 경우70150300
더. 법 제16조제3항에 따른 관계 공무원의 출입·검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경우법 제23조제1항제9호100200300
러. 법 제18조에 따른 교습비등을 반환하지 않은 경우법 제23조제1항제10호
1) 반환할 금액의 일부를 반환하지 않은 경우50100200
2) 반환할 금액의 전부를 반환하지 않은 경우100200300
최근 업데이트 일시 : 2024/07/22 13:16:37
닫기

배너 리스트